본문 바로가기

투자/주식

(22)
코스피 월봉 분석1 조건1. 지수가 고점대비 -30% 이상 빠지고 10개월 이평선이 60개월 이평선 아래에 있고 3개월 이평선이 반등하며 20개월 이평선 or 60개월 이평선을 넘길 때 매수 조건2. 10개월 이평선이 60개월 이평선 아래에 있고 3개월 이평선이 반등하며 20개월 이평선 or 60개월 이평선을 넘길 때 매수 조건1은 조건2에 포함됨 *90년대 부터 총 7회 발생 *6개월 안에 반등 가능성 매우 높음 *2023년은 위와 같은 이유로 추가 진입하기 좋은 때가 오리라 기대한다 *****2003년부터 소형주 전략과 맞춰서 비교검증 결과 총 4번 중 3번 수익률 양호 1번은 2003년 당시 코스닥 지수 하락으로 손실이 큼
소형주 전략에 기업의 채산성을 활용하면? 퀀터스 한국 소형주 전략 10종목 월리밸런싱 조건: 1. 기업의 채산성 -1이상, 코스피 월수익률 마이너스 2. 기업의 채산성 0이상, 코스피 월수익률 마이너스 3. 기업의 채산성 1이상, 코스피 월수익률 마이너스 진입: 조건 충족할 경우 다음달 진입 청산: 조건 충족 못할 경우 다음달 청산 결과: 조건1. 66개월 진입, 승률 70%, 손익비4, 평균손익비2 조건2. 60개월 진입, 승률 68%, 손익비4, 평균손익비2 조건3. 39개월 진입, 승률 67%, 손익비4, 평균손익비2 단순 소형주 전략상 매매시 승률 60% 기업의 채산성+코스피 지수는 소형주 전략 승률을 높여줌 기업의 채산성이 높아질수록 진입 개월이 줄어들고 승률은 낮아지지만 손익비는 동일하다는 것은 사실 손익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음 ..
코스닥은 몇 월에 투자하면 좋을까? 코스닥은 몇 월에 투자하면 좋을까? 검증기간: 1996-07-01 ~ 2023-01-01 월봉 종가 기준 *플러스 달: 1월, 2월, 3월, 4월, 5월, 8월, 10월, 11월 *마이너스 달: 6월, 7월, 9월, 12월 *플러스 많은순: 4월→3월→1월→8월→2월→5월→10월→11월→6월→12월→7월→9월 *월평균수익 플러스 달: 1월, 2월, 3월, 4월, 5월, 11월, 12월 *월평균수익 마이너스 달: 6월, 7월, 8월, 9월, 10월 *월평균수익 높은순: 1월→4월→11월→2월→3월→5월→12월→10월→7월→6월→8월→9월 *상대적으로 오를 확률이 높고 수익도 좋은 달: 1월, 3월, 4월
코스피는 몇 월에 투자하면 좋을까? 코스피는 몇 월에 투자하면 좋을까? 궁금해서 1981년 6월부터 2023년 1월, 42년이 조금 넘는 기간의 코스피 지수 월봉 데이터로 분석했다. *플러스 달: 1월, 2월, 3월, 4월, 7월, 11월, 12월 *마이너스 달: 5월, 6월, 8월 *플러스 많은순: 7월→11월→3월→12월→4월→9월→10월=1월→2월→5월→6월→8월 *월평균수익 플러스 달: 1월, 3월, 4월, 5월, 7월, 10월, 11월, 12월 *월평균수익 마이너스 달: 2월, 6월, 8월, 9월 *월평균수익 높은순: 11월→7월→1월→3월→12월→4월→10월→5월→6월→2월→9월→8월 =+ 상대적으로 오를 확률이 높고 수익도 좋은 달: 3월, 4월, 7월, 11월, 12월 다음 편으로 똑같이 코스닥 지수도 알아보겠다.
주식 보유 기간별 수익 확률
채권은 주식보다 변동성이 적은가? 책 내용을 보면 30년 기간 채권100% 변동성이 주식 100% 변동성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식의 변동성은 채권의 변동성보다 높지만 긴 시계열로 봤을 때 주식의 변동성이 더 낮음을 확인했다. 수익률은 장단기적으로 주식이 채권보다 높다.
주식시장을 이긴 전략들2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주식시장을 이긴 전략들1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