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주식 (22) 썸네일형 리스트형 투자는 심리게임이다(반복숙지)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코스피 PBR 1이하 진입 후 기간별 코스피 지수 수익률 2022년 6월부터 6개월 -1% 수익률은 아직 올해 12월이 끝나지 않은 시점(현재기준 2022.12.25)에서 미정된 값이다.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코스피 PBR 값 1이하 진입 후 3~24개월 지수 수익률은 2018년 10월 18개월 수익률을 제외하고 모두 양의 값이었다. 하지만 올해 코스피 PBR 값 1이하 진입 후 3~12개월 지수 수익률은 현재까지 음의 값을 보여준다. 코스피 PBR 지표을 통한 바닥예측 과거 코스피 PBR이 1이하로 떨어지는 시점부터 코스피 지수는 얼마나 더 빠졌을까? 2004년부터 오늘까지 코스피 PBR은 1이하로 4번 내려간 적 있다. 이 중 2004년, 2008년, 2016년 PBR이 1이하로 내려갔을 땐 코스피 지수는 5% 이내로 빠지며 저점을 만들었고 2018년부터 코로나 폭락장까지 유일하게 13.5% 빠지며 두자릿 수를 기록했다. 올해 6월부터 코스피 PBR은 1이하로 진입하며 코스피 지수는 계속 빠지는 중인데 코로나 폭락장과 같은 공포로 코스피 지수가 10% 이상 빠질까 의문이다. 솔직히 그럴거 같진 않다. 그래도 올해 PBR이 1이하로 진입한 시점부터 지수의 최대 하락폭인 13.5% 빠진다고 가정하면 최악의 경우 코스피는 2000초반까지 내려갈 수 있을거 같다. 코스피 연간 수익률을 통한 2023년 방향성 고민 오늘까지 올해 코스피 연간 수익률은 -20.85%이다. 98년 이후 2년간 연속으로 손해보는 해는 없었다. 약 25년동안 지켜졌는데 내년이라고 다를까? 시계열을 넓히면 81년부터 97년까지 2년 연속 손실 본 적이 3번 있긴 하다. 연봉 코스피 차트를 봐도 20년 이상 만들어진 기울기가 앞으로도 이어질 확률이 더 높지 않을까 추측된다. EWY으로 본 현재 위치 이미지는 블랙록에서 운영 미국 ETF 상품인 EWY 차트이다. 쉽게 달러 기준 코스피 지수로 참고하며 보는 편이다. 2006년부터 현재까지 월봉 기준으로 차트를 볼 때 아래 3번과 4번 직선 사이에 있거나 4번 직선 아래로 이탈할 때가 시장은 저점이었다. 그리고 현재 위치는 3번과 4번 직선의 사이 구간이다. 2006년부터 현재까지 3번과 4번 직선 사이의 구간에 위치한 적은 3번 있었는데 당시 하락률을 보면 2007.10~2009.02 고점대비 약 71% 하락, 2018.01~2020.03 고점대비 약 40% 하락했고 최근 2021.06~2022.09 고점대비 약 49% 하락했다. 지겨운 하락장 언제까지 갈까 지겨운 하락장이 언제까지 지속될 지 알아보기 위해서 과거 코스피 사례를 알아봤다. 1998년1월부터 2022년11월까지 코스피 월말 종가기준으로 상승장과 하락장의 기간을 계산했는데 중간의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박스권장은 제외시킨다. 여기서 상승장 기준은 약 30%이상 상승시, 하락장 기준은 약 20%이상 하락할 경우로 본다. 약 25년간 상승장은 총 6차례 발생했다. 98년6월부터 19개월간 저점대비 245.1% 상승 01년9월부터 7개월간 저점대비 86.7% 상승 03년3월부터 56개월간 저점대비 285.4% 상승 09년2월부터 27개월간 저점대비 106% 상승 16년1월부터 25개월간 저점대비 34.2% 상승 20년3월부터 15개월간 저점대비 87.8% 상승 상승장은 짧게 7개월, 길게 56개..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