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8)
코스피는 몇 월에 투자하면 좋을까? 코스피는 몇 월에 투자하면 좋을까? 궁금해서 1981년 6월부터 2023년 1월, 42년이 조금 넘는 기간의 코스피 지수 월봉 데이터로 분석했다. *플러스 달: 1월, 2월, 3월, 4월, 7월, 11월, 12월 *마이너스 달: 5월, 6월, 8월 *플러스 많은순: 7월→11월→3월→12월→4월→9월→10월=1월→2월→5월→6월→8월 *월평균수익 플러스 달: 1월, 3월, 4월, 5월, 7월, 10월, 11월, 12월 *월평균수익 마이너스 달: 2월, 6월, 8월, 9월 *월평균수익 높은순: 11월→7월→1월→3월→12월→4월→10월→5월→6월→2월→9월→8월 =+ 상대적으로 오를 확률이 높고 수익도 좋은 달: 3월, 4월, 7월, 11월, 12월 다음 편으로 똑같이 코스닥 지수도 알아보겠다.
주식 보유 기간별 수익 확률
채권은 주식보다 변동성이 적은가? 책 내용을 보면 30년 기간 채권100% 변동성이 주식 100% 변동성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식의 변동성은 채권의 변동성보다 높지만 긴 시계열로 봤을 때 주식의 변동성이 더 낮음을 확인했다. 수익률은 장단기적으로 주식이 채권보다 높다.
주식시장을 이긴 전략들2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주식시장을 이긴 전략들1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투자는 심리게임이다(반복숙지)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투자자예탁금 대비 신용융자 비율 2007년부터 투자자예탁금 대비 신용융자 비율이 40% 이상일 경우, 그 해의 시장은 매번 고점을 찍었고 투자자예탁금 대비 신용융자 비율이 25% 이하일 경우, 시장은 저점에 가까웠다. ex. 2007년, 2011년, 2018년, 2021년 2022년 12월 26일, 현재 투자자예탁금 대비 신용융자 비율은 36% 이고 이 값으로 시장의 바닥을 논하기는 힘들다. 시장은 계속 떨어질 수 있고 대중의 관심이 더 식을 때까지 지루한 박스권 장이 이어질 수 있다.
코스피 PBR 1이하 진입 후 기간별 코스피 지수 수익률 2022년 6월부터 6개월 -1% 수익률은 아직 올해 12월이 끝나지 않은 시점(현재기준 2022.12.25)에서 미정된 값이다.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코스피 PBR 값 1이하 진입 후 3~24개월 지수 수익률은 2018년 10월 18개월 수익률을 제외하고 모두 양의 값이었다. 하지만 올해 코스피 PBR 값 1이하 진입 후 3~12개월 지수 수익률은 현재까지 음의 값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