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8)
코스피 종합지수 대비 코스닥 소형지수 하락률 코스피 종합지수 대비 코스닥 소형지수(삼성증권 데이터 활용) 하락률을 알아봤다. 어림 짐작하기 위한 대략적인 값이고 2008년(금융위기)과 2020년(코로나팬데믹) 같은 큰 하락 구간만 참고. 2020년 1~3월 코스피 종합지수는 고점에서 저점까지 약 -36.8% 코스닥 소형지수는 고점에서 저점까지 약 -43.9% 2008년 1~10월 코스피 종합지수는 고점에서 저점까지 약 -52.8% 코스닥 소형지수는 고점에서 저점까지 약 -65.9% 2007년 고점 대비 2008년 저점까지 코스피 종합지수는 약 -57.2% 코스닥 소형지수는 -73.6% 각 지수 기간별 하락률을 더한 뒤 평균내서 차이를 보면 코스닥 소형지수는 코스피 종합지수 대비 약 25% 더 하락함을 알 수 있다.
코스닥 소형주 요일효과 에서 2000~2020년까지 21년간 데이터를 활용해 요일효과를 검증한 부분이 있다. 이를 참고해 21년부터 22년까지 코스닥 소형 지수로 요일효과를 확인해봤다. 코스닥 소형주(삼성증권 코스닥 소형지수 활용) 하루 단위(당일 종가-전일 종가) 수익률 값으로 계산
oecd 경기선행지수 활용 테스트기간: 2000-06-01~2023-04-01 코스피 플러스 승률 약 56% oecd경기선행지수 전달 대비 플러스일 때, 코스피 플러스 승률 약 67% (같은 기간 승률 약 11%증가) oecd경기선행지수 전달 대비 플러스일 때, 2개월 뒤 코스피 플러스 승률 약 63% (같은 기간 승률 약 7%증가)
중요 시그널 oecd 한국경기선행지수 oecd 국가별 경기선행지수 한국은행 한국경기선행지수 순수출 기업채산성 환율 신용융자비율 예탁금대비 코스피 pbr vix fear and greed index 실업률 지수 일,월 차트 지수 일 이격 고점지표: m2=시가총액 저점지표: (m1+m2)/2=시가총액
한국증시 홀짝 연도별 수익률 유튜브 채널 자료: 상유십이tv 한국증시 홀수 해가 짝수 해보다 좋다...신기하다 데이터로 증명됐다면 내가 모르는 사회 현상에 의해 나타나는 패턴으로 해석하는게 맞겠지 홀수 or 짝수 5연속 발생 확률 3.1% 홀수 or 짝수 6연속 발생 확률 1.5% 홀수 or 짝수 10연속 발생 확률 0.097%
감정적으로 판단하지 않는 방법 감정적으로 판단하지 않는 방법 직감에만 의존하지 않기: 직감이 때로는 유용할 수 있지만, 감정적 판단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팩트와 데이터를 근거로 한 의사결정을 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의사결정 과정 구조화: 의사결정 과정을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방식으로 접근하면 감정의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문제를 분석하고, 목표를 설정한 다음, 가능한 대안을 검토하고, 각 대안의 장단점을 평가하는 등의 단계를 거치는 것이 좋습니다. 일정 시간 기다리기: 감정이 높은 상태에서 결정을 내리지 않도록 일정 시간 기다린 후, 감정이 안정된 상태에서 다시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판적 사고 연습: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워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합니다. 비판적 사고..
감정이 주식 투자에 미치는 영향 감정이 주식 투자에 미치는 영향 감정은 주식 투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투자자들의 감정 상태는 주식 시장에서의 결정을 크게 바꿀 수 있으며, 이는 시장의 변동성에 영향을 줍니다. 투자자들은 완벽한 합리성을 가진 기계가 아니라 감정을 가진 인간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감정은 우리가 결정을 내릴 때 종종 이성보다 우선순위를 차지하게 되어 투자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주요 감정이 주식 투자에 영향을 미칩니다 공포: 주식 가격이 떨어지거나 시장이 불안할 때, 투자자들은 자산을 잃을까 두려워하게 됩니다. 이 공포로 인해 패닉 팔림이 발생하고, 많은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탐욕: 주식 가격이 상승하거나 시장이 호황일 때, 투자자들은 더 많은..
본능의 힘: 인간의 본능적 욕구와 행동을 탐색하기_1편 본능의 힘: 인간의 본능적 욕구와 행동을 탐색하기 1. 인간의 본능적 특성 이해하기 인간의 본능적 특성은 인간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되는 우리의 본능적 행동과 욕구를 말합니다. 이러한 본능적 특성들은 인간의 생존, 번식, 사회성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됩니다. 인간의 본능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자들, 심리학자들, 생물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습니다. 이들의 연구를 통해 인간의 본능적 행동과 욕구가 어떻게 발생하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습니다. 인간의 본능적 특성은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나타나는 행동, 감정, 사고 패턴에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인간의 주요 본능들을 탐구하고, 각 본능이 인간의 행동과 결..